본문 바로가기
교육

자녀를 수포자로 만드는 부모의 행동 5가지

by MK발견 : 교육과 육아 정보 수집 블로그 2025. 3. 14.

자녀를 ‘수포자’로 만드는 부모의 행동 5가지 🚨

자녀를 수포자로 만드는 부모의 행동 5가지 포스팅
수포자로 만드는 부모행동 포스팅

 

(수포자: 수학을 포기한 자녀... 하지만 사실은 부모가 만든 걸 수도!?)

 

수학은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과목이지만, 사실 부모의 태도와 행동이 자녀의 학습 태도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아요. 혹시 무심코 이런 행동을 하고 있다면, 당신도 자녀를 ‘수포자’의 길로 이끌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자, 지금부터 수포자를 만들어내는 부모의 행동 5가지를 재미있게 살펴볼게요.


1️⃣ "나도 수학 못했어~ 유전이야!" 🙅‍♂️🙅‍♀️

어릴 적 수학 시험에서 처참한 점수를 받았던 기억이 떠오르시나요? 그래서 자녀가 수학을 어려워할 때 "괜찮아~ 엄마(아빠)도 수학 못했어. 우리 집은 원래 그래!"라고 위로하시나요?

이 말은 자녀에게 수학을 포기할 수 있는 핑계를 주는 것과 다름없어요.
수학은 타고나는 게 아니라, 연습과 노력으로 충분히 실력을 쌓을 수 있는 과목이에요. 부모가 먼저 "우리 집은 원래 수학 약해"라는 프레임을 씌우면, 아이도 "아~ 난 원래 안 되는구나" 하고 포기해버리죠. 😭

📢 대신 이렇게 해보세요!
"엄마(아빠)도 어릴 때 수학 어려웠지만, 노력하면 분명히 할 수 있어!"라고 말하며 아이가 도전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


2️⃣ "이 문제 왜 몰라? 너 바보야?" 🤬

자녀가 문제를 틀리거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화부터 내는 부모님들이 있어요.
"이걸 왜 몰라? 내가 다 설명해 줬잖아!"
"이건 기본 중의 기본이야!"
"너 대체 학교에서 뭐 배웠니?"

이런 말들은 자녀의 자존감을 깎아내리고, 수학을 두려운 존재로 만들어요. 수학은 단계적으로 쌓아가는 과목이기 때문에, 이해가 부족한 부분을 차근차근 짚어줘야 해요. 화내는 것보다 "어떤 부분이 헷갈려?"라고 물어봐 주는 게 훨씬 효과적이랍니다.

📢 대신 이렇게 해보세요!
"이 부분이 어려운가 보구나. 어디가 막히는지 이야기해 볼까?"
"틀려도 괜찮아! 틀려야 배우는 거니까 같이 다시 해보자!"

이렇게 말하면 아이도 부담을 덜 느끼고 수학을 포기하지 않게 됩니다.


3️⃣ "정답 맞히는 게 중요해!" ✔️❌

많은 부모님들이 정답을 맞히는 데만 집중하게 만듭니다.
"빨리 답만 말해봐!"
"이거 정답 뭐야?"

이러면 아이는 과정보다 결과에만 집중하게 돼요. 결국 "찍기"나 "요령"으로 문제를 풀려 하고, 개념을 깊이 이해하지 못한 채 수학을 피하게 됩니다.

📢 대신 이렇게 해보세요!
"어떻게 풀었어?"
"이 과정에서 헷갈리는 부분 있어?"

이렇게 과정 중심으로 대화하면, 아이가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힘을 기를 수 있어요. 수학은 답을 맞히는 게 아니라,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과목이라는 걸 기억하세요!


4️⃣ "수학 문제 풀 시간 없어! 학원에서 배우겠지~" ⏳

"집에서 공부 안 해도 학원에서 가르쳐 줄 거야~"라고 생각하시나요?
혹은 "다른 과목 공부하기도 바빠서 수학 문제 풀 시간 없어!"라고 말하시나요?

수학은 단순히 공식만 외운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문제를 직접 풀어보고 연습해야 내 것이 됩니다. 학원에서 아무리 좋은 강의를 들어도, 직접 손으로 풀어보지 않으면 절대 실력이 늘지 않아요.

📢 대신 이렇게 해보세요!
집에서 하루 10~20분이라도 수학 문제를 풀어보는 시간을 만들어 주세요.
"오늘 학원에서 배운 것 중에서 한 문제만 같이 풀어볼까?"
이렇게 가볍게 접근하면 아이가 부담 없이 연습할 수 있어요.


5️⃣ "계산 실수 좀 해도 괜찮아~ 대충 하자!" 🤷‍♂️

"어차피 개념만 알면 돼, 계산 실수는 중요하지 않아~"
"정답은 맞았으니까 됐어!"

이런 식으로 대충 넘어가면, 아이는 꼼꼼하게 푸는 습관을 기르지 못해요. 특히 수학은 작은 실수 하나가 문제를 완전히 틀리게 만들기 때문에, 정확성과 세밀함이 중요한 과목입니다.

📢 대신 이렇게 해보세요!
"어? 여기 계산이 살짝 틀렸네! 어디에서 실수가 났는지 같이 볼까?"
"조금만 더 꼼꼼하게 하면 완벽해질 거야!"

실수를 무조건 지적하는 게 아니라, 어디서 실수가 났는지 아이가 직접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해요.


💡 결론! 부모의 작은 말 한마디가 수포자를 만들 수도, 수학 천재를 만들 수도 있다!

수학은 ‘머리 좋은 아이들만 잘하는 과목’이 아니라, 올바른 태도와 습관을 가진 아이가 잘하는 과목이에요. 부모가 부정적인 말을 하면 아이는 수학을 포기할 핑계를 찾게 되고, 반대로 부모가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 아이도 끝까지 도전하게 됩니다.

 

 수포자를 막는 부모의 한 마디:
✔️ "엄마(아빠)도 어려웠지만 연습하니까 됐어!"
✔️ "틀려도 괜찮아! 어디서 막혔는지 같이 보자."
✔️ "어떻게 풀었어? 과정이 궁금해!"
✔️ "하루 10분만이라도 연습해 볼까?"
✔️ "실수는 괜찮아! 하지만 어디서 틀렸는지 확인해 보자!"

 

혹시 위에서 소개한 행동 중에 자신도 모르게 하고 있던 것들이 있나요?
지금부터라도 조금씩 바꿔보면, 자녀가 수학을 포기하는 대신 점점 더 자신감을 갖게 될 거예요!